❗️Problem: 20~40대 지식노동자가 가치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한 비용이 큼
시간이 가장 중요한 자원인 사람들에게 시의성 있는 주요 정보를 선별하고 획득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 리소스가 부족함
변호사
해외에서 ‘크롤링’, ‘저작권’ 토픽에 대한 판례와 흐름을 시의성 있게 알고 싶음
IT 종사자
RAG, MCP 등 새로운 활용 혹은 OpenAI, Gemini 등 관련 이슈에 대해 빠르게 파악하고 적용하고 싶음
투자자
테슬라, 아이온큐, 오클로 등 시황과 이슈에 크게 변하는 종목들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싶음
Solution: 국내외 뉴스・기업정보를 바탕으로 원하는 정보를 맞춤으로 제공하는 AI 뉴스 비서
생성형 AI와 ML・DL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주요 정보를 모으고, 압축하여, 사용자에 필요에 맞게 요약 작성하여 제공하는 뉴스 비서
정보 수집・압축
•
(기능) 실시간으로 주요 뉴스를 판별하고, 언론 주목도를 스코어링
•
(기술) 뉴스 기사를 벡터 임베딩 후 클러스터링 모델(ML)과 LLM을 이용하여, 동일한 내용의 뉴스를 하나의 뉴스로 통합
•
(구현) 현재 [뉴스보이] 앱은 국내 뉴스를 일일 2만개 수집하여, 2천개 내외로 사용자에게 압축하여 제공
토픽 매칭
•
(기능) 토픽에 매칭되는 주제의 뉴스를 사용자가 원할 정도에 맞게 선별하여 제공
•
(기술) 각 토픽에 매칭된 뉴스를 사용자 개별 관심사와 사용 데이터 기반으로 스코어링 (DL)
•
(구현) 테슬라는 일일 약 5,000개의 뉴스가 나오지만, 사용자에게 필요할 뉴스는 300개 내외이고, 압축을 거치면 15개 이하로 나옴
콘텐츠 가공
•
(기능) 사용자의 현재 상황/목적에 맞도록 토픽에 대한 뉴스를 요약하여 작성
•
(기술) 헤드라인, 핵심 요약, 뉴스 본문, 뉴스 퀴즈 등 다양한 콘텐츠를 LLM 기반으로 생성
•
(구현) 하루 2천개 이상 뉴스 콘텐츠 제작하여, 현재 누적 2년치의 뉴스가 제작하여 보유 중
Why Now?: LLM 등장 이후 정보의 소비 방식이 바뀌는 중
[능동적 정보 획득]
검색 (Google, Naver)
→
AI chat (Liner, Perplexity, ChatGPT 등)
[수동적 정보 획득]
지속적인 채널 확장 및 선별 필요 (뉴스레터, SNS, TV, 유튜브)
→
초개인화된 정보 획득 자동화
Product: Newsboy
[Key Feature]
1.
AI를 통해서 생성한 숏폼 뉴스를 통한 뉴스 습관화
2.
필요한 뉴스만 볼 수 있도록 하는 AI 뉴스 비서
앱스토어 뉴스 카테고리 (한국)
2위
앱스토어 리뷰
4.9점
앱스토어/구글플레이 다운로드
5만+
유저 누적 뉴스 소비
150만+
Business Model
팀
안세현 (공동대표 / CTO)
연세대학교 수학・산업공학 졸업
前 LINE 위치광고팀 데이터 엔지니어
前 군인 커뮤니티 통신보안 리드 개발 & 누적 10만 유저
프로필: www.linkedin.com